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통건축소개

전통건축소개

한국의 전통건축이란 우리나라의 기후 및 풍토, 사회 및 문화, 정치 및 종교, 재료 및 기술, 경제적 여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이어져 왔으며, 우리가 보편적으로 전통으로 이해하고 인정하고 있는 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

1978년 연천 전곡리에서 동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되어 한반도 땅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아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의 건축문화는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 원삼국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며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은 각각의 민족에 따라 그 전개방식에 많은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한자라는 문화적 전통과, 유·불·도 3교로 대표되는 사상적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
한자(漢字)는 동아시아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한자를 쓰는 방법 자체가 하나의 예술이 된다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유교의 인륜과 의리를 중시하는 문화, 仁(인)의 개념은 과거 뿐 아니라 현대에도 동아시아의 성장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불교의 전래는 동아시아 건축문화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철학사상이나 생활문화에 있어서 ‘자연’이 강조되고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은 동아시아 건축의 근간이 되었다.

우리나라 전통의 멋은 ‘은근과 끈기’(조윤제), ‘흥청거림과 담박미(淡泊味)’(이희승). ‘비정제성, 원숙성, 낙천성’(조지훈), ‘구수한 큰 맛,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고유섭)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전통건축은 우리의 멋과 기술을 지닌 건축이며, 우리가 잘 지키고 가꾸어 다음 세대로 전해야 할 값진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국가유산 지정현황 (2022.12.31 기준)

목조

 

( 단위 : 건 )

유형별 목조 국가유산의 지정 현황
유형별 목조
궁궐
유교
관아
사찰
고가
성곽
사묘재실
누정각
   
총합계

석조

 

( 단위 : 건 )

유형별 석조 국가유산의 지정 현황
유형별 석조
승탑
석등
당간
석교
첨성대
석굴
석빙고
기타 245
총합계
  • 메뉴 담당자
  • 수리진흥부 / 강선혜 ☎ 031-929-8314